2025/03/09 4

셀럽과 인플루언서의 질병 공개: 그들의 이야기, 우리의 변화

유명인의 질병 공개가 가져온 실제 변화들셀럽들이 질병을 공개하면 대중은 이를 단순한 가십이 아니라 자신과 연결된 이야기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심리학적으로 이를 "사회적 동일시(Social Identification)"라고 하죠 (Kresovich & Noar, 2020). 그리고 이 동일시가 강할수록 우리는 해당 질병에 대해 더 많이 검색하고, 검진을 받으며, 건강한 습관을 만들려는 경향을 보입니다.그럼, 실제 사례들을 한번 살펴볼까요? 1. 농구 황제 매직 존슨과 HIV1991년, 전설적인 농구 선수 매직 존슨(Magic Johnson)이 "나는 HIV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선언했습니다. 당시 사람들은 충격을 받았지만, 동시에 HIV/AIDS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졌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건강 & 의료 2025.03.09

드라마 중증외상센터, 드라마속 기적 과연 현실에도?

"의료진이 환자를 살리기 위해 모든 걸 걸었다!"이 문장이 낯설지 않다면, 당신도 중증외상센터 같은 의료 드라마에푹 빠져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눈물 없이 볼 수 없는 감동적인 장면, 극한의 상황에서 빛나는 의료진의 헌신, 그리고 긴박한 응급수술까지! 하지만 혹시 이런 생각 해본 적 있는가? "현실에서도 저렇게 멋지게 환자를 살릴 수 있을까?" 사실, 답은 ‘반반’이다. 드라마 속의 의료진은 마치 슈퍼히어로처럼 보이지만, 현실의 중증외상센터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치열하고 복잡한 곳이다. 그렇다면, 드라마와 현실의 차이는 과연 무엇일까?  의료 드라마 vs 현실, 얼마나 다를까?2024년 발표된 논문 TV Medical Dramas: Assessing the Portrayal of Public..

건강 & 의료 2025.03.09

혈액 검사로 치매 진단을? 고가 장비를 대체할 수 있을까?

1. 혈액 검사만으로 치매(알츠하이머병)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기억이 가끔 흐려지거나, 중요한 약속을 자꾸 잊어버린다면 단순한 건망증이 아니라 알츠하이머병(치매)의 초기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치매는 나이가 들면서 뇌 기능이 점차 저하되는 질환으로, 조기에 발견할수록 관리와 치료가 쉬워집니다. 조기 진단을 받으면 약물 치료와 생활습관 조정을 통해 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지만, 문제는 정확한 진단을 받기가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현재까지 알츠하이머병을 확진하려면 PET 스캔(뇌 영상 검사)이나 척수액 검사 같은 고가의 정밀 검사가 필요했습니다. 하지만 이 검사는 비용이 비쌀 뿐만 아니라, 검사 과정이 번거롭고 환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검사를 망설이거나, 병이 상당히 진행된 ..

건강 & 의료 2025.03.09

비만 치료제 어떤 것이 더 효과적?(위고비 vs 마운자로)

1. 왜 요즘 비만 치료제가 뜨거운 감자인가요?비만 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뜨겁습니다. 체중 감량은 단순한 외모 관리가 아니라 건강과 직결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비만이 당뇨병, 심혈관 질환,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과 연관이 깊다는 점이 밝혀지면서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비만 치료제가 주목받고 있습니다.최근 들어 운동이나 식이요법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해결책으로 의학적인 접근이 더욱 각광받고 있는데요. 특히, GLP-1 수용체 작용제 기반의 치료제가 효과적인 체중 감량과 혈당 조절 능력을 동시에 보여주면서, 많은 사람들이 비만 치료제를 찾고 있습니다.뿐만 아니라,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살이 빠지는 주사'라는 별칭과 함께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와 티..

건강 & 의료 202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