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치료제 분야에서 큰 기대를 받고 있는 신약 다트로웨이(Datroway)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약은 일본 제약사 다이이찌 산쿄(Daiichi Sankyo)와 영국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공동 개발한 항암제로, 최신 기술을 적용한 '항체-약물 결합체(ADC, Antibody-Drug Conjugate)' 치료제입니다. 기존 항암제보다 더 효과적이면서도 부작용이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다트로웨이, FDA 승인 획득!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최근 유방암 치료제로 다트로웨이를 공식 승인했습니다.
기존에 다이이찌 산쿄와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한 '엔허투(Enhertu)'라는 약물이 2019년에 FDA 승인을 받은 이후, 다트로웨이가 두 번째로 승인된 항체-약물 결합체(ADC) 치료제가 되었습니다.
이번 승인으로 기존 치료를 받아본 경험이 있는 진행성 유방암 환자들이 새로운 치료 옵션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다트로웨이는 2023년 12월 일본에서도 유방암 치료제로 승인된 바 있습니다.
한편, 폐암 환자를 위한 추가 승인도 준비 중이며, 특히 EGFR 유전자 변이 폐암 환자 치료를 목표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트로웨이는 어떻게 암을 공격할까?
다트로웨이는 '유도 미사일' 원리를 적용한 항암제입니다.
기존의 화학항암제는 정상 세포와 암세포를 구별하지 못하고 모두 공격하는 반면, 다트로웨이는 암세포 표면의 특정 단백질(TROP2)을 인식해 암세포만 정확히 공격하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다트로웨이의 작용 원리
- 암세포 찾기: 다트로웨이는 암세포 표면에 있는 TROP2 단백질을 찾아 결합합니다.
- 암세포 내부 침투: 결합된 다트로웨이는 암세포 안으로 들어갑니다.
- 약물 방출: 암세포 안에서 강력한 항암 물질이 방출되어 암세포를 파괴합니다.
- 주변 암세포까지 공격: 방출된 약물이 주변 암세포까지 추가로 공격하면서 암세포를 더 효과적으로 제거합니다.
이처럼 암세포만을 표적으로 삼아 공격하기 때문에, 기존 항암제보다 부작용이 줄어들고 치료 효과는 더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트로웨이의 주요 적용 분야
현재 다트로웨이는 유방암과 폐암 치료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1. 진행성 유방암 (삼중음성유방암 포함)
- 기존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는 진행성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사용
- 삼중음성유방암(TNBC) 환자들에게도 효과 기대
- FDA 승인 완료, 일본에서도 승인됨
2. 비소세포폐암(NSCLC)
- 폐암 환자의 85%가 해당하는 비소세포폐암 치료 가능성 확인
- 기존 치료제가 듣지 않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선택지 제공
- 현재 EGFR 유전자 변이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추가 연구 진행 중
3. 요로상피암 치료 가능성
- 2025년 2월, 미국임상종양학회 비뇨생식기암 심포지엄(ASCO GU 2025)에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 대상 임상 1상 중간 분석 발표
- 객관적 반응률(ORR) 30%, 독립적 검토위원회 평가에서는 ORR 25% 기록
- 무진행 생존기간(PFS) 중앙값 6.9개월, 요로상피암 치료제로서의 가능성 확인
다트로웨이의 장점
-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 → 부작용 감소
- 기존 치료제보다 강력한 항암 효과 → 생존율 증가 기대
- 적용 범위 확대 가능성 → 폐암, 유방암, 요로상피암 외에도 다른 고형암 치료제로 발전 가능성
다트로웨이 최신 임상시험 결과
주요 임상 데이터
- 유방암 치료(TROPION-Breast01 임상 3상)
- 기존 화학요법 대비 질병 진행 또는 사망 위험 37% 감소
- 무진행 생존기간(PFS) 중앙값 6.9개월 (vs 화학요법군 4.9개월)
- 객관적 반응률(ORR) 36% (vs 화학요법군 23%)
- 요로상피암 치료(TROPION-PanTumor01 임상 1상)
- 객관적 반응률(ORR) 30%, 독립적 검토위원회 평가에서는 ORR 25%
- 무진행 생존기간(PFS) 중앙값 6.9개월
현재 다트로웨이는 FDA의 '혁신 치료제(Breakthrough Therapy)' 후보로 지정되어 있으며, 추가적인 적응증 확대 및 승인이 기대됩니다.
결론
기존 항암제들은 정상 세포까지 공격하는 부작용이 컸지만, 다트로웨이는 암세포만을 표적으로 삼아 치료하는 혁신적인 방식을 사용합니다. FDA 승인을 획득한 유방암 치료제로, 폐암 및 요로상피암 등 다양한 암종으로도 연구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앞으로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 추가 연구가 완료되면 더 많은 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될 치료제로 자리 잡을 것입니다.
'건강 & 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 바이오 프린팅, 의료의 미래를 열다 (2) | 2025.03.02 |
---|---|
기관지확장증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브렌소카팁(Brensocatib) (0) | 2025.03.01 |
CETP 억제제, 오비세트라핍(Obicetrapib): 차세대 LDL-C 강하제의 가능성 (0) | 2025.03.01 |
2024년의 획기적인 신약 이야기: 알츠하이머와 암을 뒤흔든 혁신의 순간들 (0) | 2025.03.01 |
미래를 바꾸는 혁신 의약품: 최신 연구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0) | 2025.03.01 |